정상 접근: info = 18
코스안내
강화역사박물관을 출발하여 5층석탑을 거쳐 석조여래입상으로 향하는 길이지만 여유있게(1시간소요) 봉천산에 오르면 강화도 북단과 개성 송악산을 조망할 수 있다. 석조여래입상부터 양오저수지까지는 포장길이라 다소 피로감이 있다. 5월 초엔 매화마름을 8월에는 왕골을 볼 수 있다. 화문석문화관에서의 체험은 휴식과 선물을 함께 준다. 다송천을 지나 돌아 오는 길은 피로감을 없애주는 힐링의 숲길이다.
강화의 문화유산을 보존·연구하여 전시할 목적으로 세워진 공립박물관.
강화군 봉천산 아래에 있는 고려시대의 석조불상.
인천광역시 강화군 하점면에 있는 고려후기 일반형 석조 불탑. 석탑. 보물.
인천광역시 강화군 하점면에 있는 청동기시대 화강암으로 된 북방식 고인돌. 지석묘. 사적.
이발관 앞에는 잘 손질된 정원수들이 자리를 지키고 있는데, 단정하게 깎은 머리를 생각나게 함.
화문석은 물론 왕골공예품의 변천과정을 한 눈에 볼 수 있는 상설 전시관.